배너 닫기
맨위로

국경을 넘은 뮤지컬 ‘투란도트’의 감동, 동유럽을 매혹하다!

슬로바키아 국립극장 ‘노바스쩨나’에서 3월 6일~7일 양일간 라이선스 초연 성료

등록일 2020년03월13일 10시33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한국 창작뮤지컬 최초 ‘투란도트’ 동유럽 라이선스 초연 성황리 개최

간결하고 현대적인 재해석 눈길, DIMF 원작과 또 다른 매력 선보여

 

 


<동유럽 라이선스 버전 뮤지컬 ‘투란도트’ 공연 장면 (촬영 : Ctibor Bachraty)>

 

뮤지컬 ‘투란도트’의 깊은 감동과 아름다운 뮤지컬 넘버가 슬로바키아 관객을 사로잡았다.

 

지난 3월 6일~7일 양일간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에 위치한 ‘노바스쩨나’ 국립 극장에서 한국 창작 뮤지컬 최초로 ‘동유럽 라이선스 수출’이라는 결실을 맺은 뮤지컬 ‘투란도트’의 초연이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대구시와 (사)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이하 DIMF)이 함께 제작해 지난 2010년 트라이아웃을 거쳐 2011년 제5회 DIMF 개막작으로 초연한 대형 창작 뮤지컬 ‘투란도트’가 마침내 글로벌 콘텐츠로서 위대한 행보를 시작한 것이다.

 

2018년 라이선스 수출 계약 체결, 2019년 12월 슬로바키아 현지 배우 오디션을 거쳐 드디어 무대에 오르게 된 뮤지컬 ‘투란도트’의 동유럽 라이선스 버전은 감각적인 연출로 유명한 헝가리 출신 로버트 알폴디(Róbert Alföldi) 연출가의 재해석과 슬로바키아를 대표하는 실력파 여배우 ‘미로슬라바 드린노바 (Miroslava Drínová), ‘시사 스끌로브스카(Sisa Sklovská)’의 캐스팅까지 더해 DIMF의 원작과는 또 다른 매력을 선보일 것으로 개막전부터 많은 기대를 모았다.

 

그리고 현지 일자 3월 6일과 7일 양일간 슬로바키아 ‘노바스쩨나’ 국립극장(617석)에서 펼쳐진 초연을 통해 드디어 베일을 벗은 뮤지컬 ‘투란도트’는 현지에서도 많은 관심과 이슈로 이틀 모두 전석 매진을 기록했으며 RTVS, TV Markíza, TA3 - spravodajská TV 등 방송사와 Printové Médiá, Webové Portály 등 다수의 현지 매체들도 현장을 찾아 뜨거운 취재 열기를 이어갔다.

 

 


<슬로바키아 노바스쩨나 국립극장 전경>

 

완전히 새롭게 탄생한 뮤지컬 ‘투란도트’ 라이선스 버전은 간결하고 현대적인 재해석이 돋보였다. 화려하고 판타지적 요소가 강한 원작에서 과감히 벗어나 보다 자연스러운 의상과 안무로 현대적인 느낌을 더했으며 자칫 단조롭게 보일 수 있는 장면을 심플하지만 포인트를 살린 무대 세트와 조명을 활용하여 작품에 대한 몰입도를 높였다.

 

여기에 한국 원작의 강점이었던 중독성 높은 뮤지컬 넘버를 중심으로 기존의 ‘신비로운 가상의 세계’라는 설정을 설득력 있게 풀어냈으며, 누구나 알고 있는 원작 오페라의 스토리로 관객의 공감대를 이끌어내 작품이 주는 감동을 더욱 배가시켰다. 특히 진정한 사랑을 찾아가는 스토리 전개를 부드럽게 이어내 각 캐릭터의 감정 변화가 더욱 섬세하게 다가오고 깊어졌다는 평이다.

 

동유럽 라이선스 버전의 ‘투란도트’는 향후 뮤지컬 전용극장인 슬로바키아 ‘노바스쩨나’ 국립 극장의 주요 레퍼토리로서 ‘레 미제라블’, ‘맘마미아!’, ‘시라노’ 등 명작 뮤지컬과 같이 연중 공연되며 향후 체코, 헝가리, 독일, 오스트리아 등의 동유럽 전반으로 진출하여 글로벌 콘텐츠로서 영역을 확대해갈 예정이다.

 

지난해 제13회 DIMF 어워즈를 방문해 안정적이고 뛰어난 가창력으로 뮤지컬 ‘투란도트’ 칼라프役의 가수 겸 뮤지컬 배우 ‘정동하’와 감동의 듀엣 무대를 선보였던 ‘미로슬라바 드린노바(Miroslava Drínová)’는 이번 뮤지컬 ‘투란도트’ 동유럽 라이선스 슬로바키아 공연의 투란도트役을 맡아 “이렇게 아름다운 공연을 선보이게 되어 정말 기쁘다. 차가운 모습 뒤에 숨겨진 투란도트의 고통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이 배우로서 큰 도전이었는데 잘 마치게 되어 행복하다”라는 소감과 함께 “한국의 오리지널 공연을 이미 본 관객들이 우리의 새로운 공연을 어떻게 감상할지 정말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뮤지컬 ‘투란도트’ 동유럽 라이선스 버전의 연출을 맡은 로버트 알폴디(Róbert Alföldi) 연출가는 “누구나 마음속 깊은 고통을 하나쯤은 지니고 산다. 작품 속 ‘투란도트’는 현실에도 존재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동시에 희망을 이야기한다. 나는 그것을 작품 안에서 모든 관객들이 느낄 수 있도록 풀고 싶었다”라며 “뮤지컬 ‘투란도트’를 처음 봤을 때 ‘한국’이라는 느낌이 전혀 강조되지 않은, 오히려 유럽적인 뮤지컬이라는 인상을 받았을 만큼 원작의 세련미가 워낙 좋았다. 이런 좋은 작품을 작업하게 되어 행복했다”라는 소감을 함께 전했다.

 

또한 정병화 주 슬로바키아 대한민국 대사는 슬로바키아에 상륙한 첫 번째 한국 창작 뮤지컬로서 더욱 특별한 의미를 갖는 뮤지컬 ‘투란도트’의 첫 무대를 축하하며 “한국과 슬로바키아는 1993년 외교관계 수립 이래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 협력 관계를 증진시켜 오고 있는 만큼, 한국을 대표하는 창작 뮤지컬 ‘투란도트’의 라이선스 공연은 문화 협력의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라는 응원을 전했다.

 

이처럼 호평 속에 재탄생한 뮤지컬 ‘투란도트’ 동유럽 라이선스 버전은 올여름 개최될 제14회 DIMF의 개막작으로 초청되어 국내 관객에게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며 이는 지난 2010년 트라이아웃 으로 출발한 뮤지컬 ‘투란도트’ 제작 10주년을 맞이하는 최고의 이벤트가 될 것이다.

 

DIMF 배성혁 집행위원장은 “뮤지컬 ‘투란도트’의 시작부터 함께 해왔기에 동유럽 라이선스 초연이 주는 감회가 누구보다 깊다. 문화가 다른 동유럽으로의 라이선스 수출은 한국 뮤지컬 역사상 처음이라는 의미도 정말 크지만, 개인적으로 상업적 프로덕션이 아닌 뮤지컬 도시를 표방하는 대구시와 DIMF가 함께 제작한 창작 뮤지컬이란 점에 더욱 무게를 두고 싶다”라며 “또 다른 매력의 뮤지컬 ‘투란도트’가 펼칠 앞으로의 활약이 더욱 기대되며, 오늘의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물심양면 지원해 준 대구시 관계자와 투란도트 제작진과 참여 배우, 스태프 그리고 지난 10년간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으로 응원해 준 관객들께 감사드린다”라고 전했다. ANN

 

자료_DIMF

 

 

 

박은비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