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맨위로

종로 세운상가 일대 152개 정비구역 해제

공공산업 거점 8곳, 공공임대상가 700호 공급

등록일 2020년03월06일 09시53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세운상가 일대 '도심 제조산업 허브'로···

11개 구역 등 '단계·순환적' 정비 사업

 

 

 

종로 세운상가 일대 152개의 정비구역이 해제되고, 도시재생이 추진된다.

 

서울시에서 지난 4일 세운상가 일대의 미래 관리 방향을 보전·재생으로 전환해 도심 제조 산업의 허브로 만든다는 ‘세운상가 일대 도심산업 보전 및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시는 지난해 1월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정비사업 재검토 발표 이후 상인·토지주, 사업시행자, 전문가 자문 등 80여 차례가 넘는 논의와 설문·인터뷰 등을 거쳐 ‘세운상가 일대 도심산업 보전 및 활성화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종합대책은 세운상가 일대 산업생태계 혁신, 24시간 일상이 즐거운 도심산업 혁신허브 조성이라는 비전 아래 기존 산업 보호·혁신과 신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재생, 정비사업 미추진 구역 (152개)은 해제 후 재생사업 추진, 실효성 있는 세입자 대책 마련 후 정비사업 추 진 (세운지구 11개 구역, 수표 구역) 등으로 추진된다.

 

산업재생을 위한 공공산업거점 8곳이 새롭게 조성되고 시제품 개발 원스톱 서비스, 기술전수를 위한 마이스터스쿨 도입 같은 프로그램이 지원된다. 공간의 상당 부분은 정비사업 이주 소상공인들을 위해 주변 임대료 시세보다 저렴한 공공 임대상가 (700호 이상)가 만들어진다. 나머지는 청년창업 지원시설 등 신산업 육성공간으로 조성된다.

 

세운5구역 내 해제지역에는 노후 환경 개선과 생활SOC 확충이 동시에 이뤄지는 ‘산업골목재생’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금융 등 다양한 특별지원을 받을 수 있는 ‘도심형소공인 집적지구 지정도 적정한 대상지를 정해 추진된다.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내 152개 구역은 도시정비법에 따라 해제되고 재생사업으로 전환된다. 전체 171개 구역 중 구역지정 이후 사업시행인가 신청 없이 5년이 경과해 일몰시점이 지난 구역들이다. 152개 구역은 세운2구역 35개소, 세운3구역 2개소, 세운5구역 9개소, 세운 6-1,2,3,4구역 106개소다. 추후 서울시 도시재정비위원회 심의를 통해 해제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정비구역 해제지역은 도시재생활성화사업 등 ‘재생’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추진된다. 화장실, 소방시설 같은 열악한 기초 인프라를 보강되고 주차장 확충, 도로 및 보행환경 개선 등이 지원된다. 또 건축규제 완화, 건축협정 등 방법으로 개별 건축행위를 유도해 시설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세운지구 11개, 수표 정비사업 추진구역에 대해 세입자 대책 마련 후 순환형 정비를 할 방침이다.

 

8개 산업거점 조성을 통해 공공임대상가가 구역마다 공급되며 정비사업에 따른 이주 수요를 최대한 수용, 공공 부지를 산업시설부지로 전환되어 공공임대복합시설이 건립된다.

 

관리처분을 앞둔 세운3구 역 (3-6,7)은 세입자에게 사업시행자가 확보한 임시 영업장으로 제공되며, 2021년에는 서울시와 LH가 공동 조성하는 지식산업센터 (세운5-2구역, 약 100호)에 입주할 수 있다.

 

시는 4월까지 일몰 관련 행정절차를 완료하고 세운재정비촉진계획 변경 절차에 들어가 10월 중 마무리할 계획이다. 또한 종합대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담아 ‘세운상가 일대 도시 재생활성화계획’을 연내 수립할 계획이다.

 

세운3-2구역 내 을지면옥의 경우 그동안 소유자·사업시행자와 보전 방법을 협의했지만 당사자간 의견이 조율되지 않아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협의하기로 했다.

 

박원순 시장은 “기존 세운재정비촉진계획이 지역 산업생태계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에 대한 조사‧분석이 다소 미흡했고 옛길 보존, 도로‧공원 같은 기반시설 확보에 치우친 물리적 변화 중심의 계획이었다면, 이번 종합대책으로 공공성이 강화된 정비사업을 유도하고 붕괴 우려가 있던 도심산업생태계 보전을 위한 실행력도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소상공인 등 기존 산업생태계를 보호하면서 청년들과 신산업 유입을 통해 지역과 결합된 새로운 고부가가치 콘텐츠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재생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며, “이번 종합대책을 마련하면서 도심산업의 가치와 역할에 대해 다시 한 번 깊이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었다. 향후 서울 도심부 개발과 산업정책에 있어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ANN

 

자료_ 서울특별시

 

 

 

김성희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