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맨위로

한국영화 탄생 100주년을 맞이해 이뤄낸 쾌거 황금종려상

영화 발전을 위한 자양분으로 삼아야…

등록일 2019년11월06일 14시58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한국영화 탄생 100주년을 맞이해 이뤄낸 쾌거 황금종려상

영화 발전을 위한 자양분으로 삼아야…

 

 

 

 

 

한국영화계의 성공처럼 한국건축계의 프리츠커상을 기대해본다.

 

제72회 칸영화제의 최고상인 황금종려상 수상에 힘입은 영화 기생충의 인기가 날로 높아져 간다. 가족 전원이 백수로 살아가는 기택(송강호)이 장남 기우(최우식)가 부잣집 과외 선생으로 들어가면서 벌어지는 기생충의 스토리는 가족 부와 가난이라는 계층의 양극화와 현실 사회 비판이라는 점에서 세계 영화시장에서 통했던 것이다. 특히 괴물, 마더, 설국열차, 옥자 등에서 잘 나타났듯 장르를 뛰어넘는 봉준호 감독만의 섬세하면서도 특유의 연출력은 기생충에서도 어김없이 빛을 발한다.

 

모든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리얼한 시대 반영과 한국적 맥락을 고려한 현실 인식, 명쾌한 스토리 구조와 놀랄만한 반전의 묘미 등은 기생충의 성공을 뒷받침한다. 한국영화 탄생의 100주년을 맞이한 2019년, 봉준호 감독이 칸 영화제에서 올린 쾌거는 한국 영화사를 빛낼 소중한 영화 자산이자 한국영화의 위상을 높인 계기로 평가할 수 있다.

 

국내 누적관객이 1천만을 넘어가는 훈풍에 발맞추어 해외에서도 인기몰이를 높여가고 있다. 모처럼 맞은 국내 영화 발전의 좋은 기회를 통해 한국 문화의 세계적 확산에 더욱 주목하고 노력해야 할 때이다. 영화 기생충과 봉준호 감독에서 비롯된 한국영화의 높은 인식 제고와 발전 흐름처럼 한국건축도 머지않아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세계 권위적인 프리츠커상을 수상하는 건축가라 나오길 바래본다. 비단 한국 건축계에는 국내 건축가의 프리츠커상 수상에 다소 회의적인 시각도 없지 않다.

 

좋은 건축물을 양산하고 북돋아주는 질적 건축 환경이 너무나도 부족하고 뒷받침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대부분의 규모 있고 질 높은 굵직한 건축물이 공공발주 등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그 심사와 설계‧시공 과정에서 너무나 현실적인 안을 선택하거나, 예산 절감과 공기 단축 등으로 이상하게 변질됨으로써 좋은 건축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해외 유명 건축가를 초청해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려는 대기업 오너의 사고방식 역시 너무 한다고 탓할 수만은 없겠지만, 한편으로 재능 있는 국내 건축가에게도 평등한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는 것이 건축계 전반의 목소리이다. 건축가의 자유로운 창의성을 인정하고 좋은 건축물을 만들 수 있는 시간과 아낌없는 지원의 사회적 흐름이 동반되어야 진정 프리츠커로 가는 길이 형성될 수 있다.

 

건축예술을 통해 인류와 건축 환경에 지속적이고 중요한 공헌을 한 살아있는 건축가에게 수여한다는 프리츠커상의 취지에 부합하는 한국건축가는 조금만 예리하게 바라본다면 우리 주변에도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고, 머지않아 커다란 한국건축계의 쾌거로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김용삼 편집국장


 

 

김용삼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