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맨위로

남영동 대공분실 기록한 사진집 ‘검은 벽돌의 기억’ 사진집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8년 12월부터 남영동 대공분실의 특징 사진으로 담아

등록일 2021년02월17일 18시26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남영동 대공분실 기록한 사진집 ‘검은 벽돌의 기억’ 사진집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8년 12월부터 남영동 대공분실의 특징 사진으로 담아, 5층 조사실, 나선형 계단 등 건축적 특징과 3층 특수조사실 같은 비공개 공간 수록, 민주인권기념관 2월말 임시 운영 종료, 3월부터 정식 조성을 위한 휴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지선, 이하 사업회)는 민주인권기념관으로 운영 중인 옛 남영동 대공분실의 모습을 담은 사진집 ‘검은 벽돌의 기억’을 발간했다.

남영동 대공분실은 1970~80년대의 대표적인 국가폭력 시설로 고 리영희 선생과 고 김근태 의장이 고문을 당한 곳이자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으로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된 역사적 장소다.

2018년 12월 경찰청 인권센터로 운영 중이던 옛 남영동 대공분실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로 관리운영 주체가 이관됐고 지금까지 민주인권기념관이라는 이름으로 임시 운영되고 있다.

이번에 발간한 기록사진집 ‘검은 벽돌의 기억’은 사업회가 2018년 12월부터 지금까지 남영동 대공분실의 공간 곳곳을 사진으로 남겨 기록한 결과물이다.

사진집은 총 200여 쪽 분량으로 국가폭력과 고문이 자행됐던 5층 조사실은 물론 건물 뒷문에서 조사실까지 연행자를 끌고 올라갔던 나선형 계단 등 남영동 대공분실을 대표하는 건축적 특징과 함께 건물 안팎에 새겨진 시간의 흔적을 담고 있다.

또 지금까지 일반에 공개되지 않았던 본관 3층의 특수조사실, 별관 등 부속 건물들의 내부 모습도 사진으로 볼 수 있다. 이밖에도 남영동 대공분실의 원형을 담고 있는 도면, 경찰로부터 이관받은 건축 당시 과정을 담은 자료사진도 함께 수록했다.

기록사진을 촬영한 정택용 작가는 “민주주의라는 나무는 피를 먹고 자란다는 말이 단지 은유가 아니었음을 3층 조사실 욕실과 509호 조사실은 증명하고 있다”고 소고를 통해 밝혔다.

함께 작업한 서영걸 작가 역시 “역사의 교훈이나 유물로서만 이 건물을 바라보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며 “이 공간이 존재하는 이유는 어두운 과거의 증거를 남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미래에 닥칠지 모를 비극의 재연을 막기 위해서”라고 썼다.

기록사진집 ‘검은 벽돌의 기억’은 비매품으로 사업회와 민주인권기념관 홈페이지 이벤트를 통해 일반 시민에게 한정 수량을 증정한다. 3월 이후에는 홈페이지를 통해 파일 형태로 공개된다.

이번 사진집은 민주인권기념관의 임시 운영 종료를 앞두고 발간됐다. 민주인권기념관은 정식 조성을 위해 3월부터 2년여 간의 휴관에 들어간다.

현재 운영 중인 민주인권기념관은 2월 28일까지만 일반에 공개되며 이후에는 노후로 인한 건물의 구조보강과 개보수를 거쳐 새로운 전시시설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민주화운동 정신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된 행정안전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옛 남영동 대공분실을 ‘민주인권기념관’으로 조성하고 있다. ANN

 

자료_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손세진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