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맨위로

서울시, 사진‧한식‧로봇… 2023년까지 '테마형 뮤지엄' 9개소 개관

백남준기념관 등 5개소 이어 2023년까지 총 14개소 확충

등록일 2020년06월26일 10시10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서울시, 2023년까지 '테마형 뮤지엄' 9개소 개관

다양한 테마, 문화 인프라 부족지역에 건립해 불균형 해소

 


 

오는 2023년 한국 사진사 140년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최초의 공공 ‘사진미술관’이 도봉구에 문을 연다. 문화시설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금천구엔 서남권 최초의 공공미술관인 ‘서서울미술관’이 생긴다. 이보다 앞서 2021년 성북구 삼청각에는 K-푸드 한류를 선도할 한식문화 복합공간 ‘한식문화관’도 개관한다.

 

서울시는 「박물관·미술관 도시, 서울」 프로젝트를 통해 2023년까지 사진, 한식, 로봇 등 다양한 주제의 ‘테마형 뮤지엄’ 9개소를 연이어 개관한다. 「박물관·미술관 도시, 서울」 프로젝트는 시민 문화 향유권 확대와 지역 간 문화 불균형 해소를 위해 서울시가 2015년부터 추진해오고 있는 프로젝트다. 단순히 유물을 관람하고 보관하는 박물관에서 벗어나 다양한 주제의 특색 있는 박물관‧미술관을 건립한다.

 

이에 앞서 서울생활사박물관, 서울우리소리박물관 등 5개 시설이 문을 연 데 이어, 2023년까지 9개소를 추가로 건립해 총 14개소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총 3,400억 원이 투입된다.

 

박물관·미술관은 도시의 문화 수준을 나타내는 바로미터이자, 문화를 담는 그릇이다. 쇠퇴한 작은 공업 도시에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을 유치해 매년 100만 명이 찾는 세계적인 관광도시가 된 스페인 ‘빌바오’의 사례처럼 도시를 대표하고 지역의 활성화를 이끄는 문화 인프라를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 개관 10년 간 2조 1,000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이뤄내 ‘빌바오 효과(bilbao effect)’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

 

기존 박물관‧미술관이 주로 도심권에 위치했다면, 노원‧도봉‧금천구 등 문화 인프라 부족 지역에 새롭게 확충해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 다양해진 시민 관심사를 반영해 박물관‧미술관의 다양성을 확보한다. 서울시 등록 박물관·미술관 수는 총 175개소, 인구 100만 명당 박물관 개수는 17개로 세계 주요 도시에 비해 부족한 편이다. 영국 런던은 총 215개소(100만 명당 26개), 미국 LA는 총 231개소(100만 명당 61개), 프랑스 파리는 총 313개소(100만 명당 149개)가 있다. 서울시 등록 박물관 128개 중 74개가 역사·민속을 주제로 하며, 72개의 박물관·미술관이 종로구(55개)·중구(17개)에 있다. 서울시 등록 미술관은 47개소로 기존 ‘서울시립미술관’과 분관으로 운영되고 있는 ‘북서울미술관’, ‘남서울미술관’ 외에는 갤러리 형태의 소규모 미술관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새롭게 조성되는 ‘테마형 뮤지엄’ 9개소는 서울공예박물관(2020년), 한양도성 유적전시관(2021년), (가칭)평창동 미술문화 복합공간(2021년), 한식문화관(2021년), 로봇과학관(2022년), 서울시 통합수장고(2022년), 서서울미술관(2023년), 서울사진미술관(2023년), 풍납동토성박물관(2023년)이다.

 

서울공예박물관은 종로구 구 풍문여고 부지에 건립된다. 각 시대별 대표 공예품과 근현대 명품 공예품을 전시하고, 공예 교육‧체험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한다. 한양도성 유적전시관은 양도성의 유적 원형과 발굴‧보존 과정, 시대별 축조‧기술 방식 등을 전시한다. 성곽길을 따라 전시실을 짓고, 현재 멸실된 구간은 증강현실로 재현해낸다는 계획이다.

 

평창동 미술문화 복합공간(가칭)은 현대미술의 중요 자료와 기록(미술 아카이브)을 수집·보존·연구·전시하는 약 5,500㎡ 규모의 미술문화 복합공간이다. 지난해 9월부터 평창동에 건립되고 있으며, 2021년 말 개관 예정이다. 소규모 갤러리와 미술관이 밀집돼 있고 300여 명의 예술가들이 거주해 인적 자원이 풍부하다. 한식문화관은 삼청각 리모델링을 통해 한국전통 식음문화를 연구‧보존‧전시‧체험하는 복합공간으로 조성된다.

 

로봇과학관은 도봉구 창동 상계 지역에 건립한다. AI, 가상‧증강현실, 홀로그램 등 첨단 로봇과학 기술을 체험하고, 로봇을 탐구할 수 있는 심화 교육 과정을 운영하게 된다. 서울시 통합수장고는 서울시 박물관‧미술관의 소장품 약 35만점을 보관할 수 있는 수장고부터 유물 보존‧복원‧수리‧전시도 통합적으로 이뤄지는 복합 문화공간으로 강원도 횡성군 부지에 조성된다.

 

서서울미술관은 청소년 과학‧예술 융복합 교육과 시민 참여형 미술문화의 저변 확대를 위한 거점 공간으로 2023년 문을 열 예정이다. 현재 국제 지명설계 공모가 진행되고 있으며 오는 6월 설계자가 선정된다. 서울사진미술관은 근현대 사진예술사 정립, 시각문화 유산 보존, 미디어 기반 교육 공간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2023년 개관을 목표로 현재 설계를 진행 중이다. 풍납동토성박물관은 백제왕성 풍남동토성 내 백제건국, 왕도 건설과정, 왕도 사람들의 생활, 발굴 과정 등을 전시하는 공간이다.

 

앞서 2017년 ‘백남준기념관’을 시작으로 ‘돈의문역사관’, ‘이음피움 봉제역사관’, ‘서울생활사박물관’, ‘서울우리소리박물관’ 5개 시설이 차례로 개관해 현재 시민들의 교육, 체험, 소통 공간으로 운영 중이다.

 

한편, 서울시는 「박물관·미술관 도시, 서울」 완성을 위해 시설 확충뿐 아니라, 사립 박물관·미술관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민관 협치 기구 ‘박물관·미술관도시 서울 정책위원회’도 운영 중이다.

 

사립박물관 활성화를 위해 전시·교육·체험 사업, 학예 인력 지원, 시설 개선 공사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박물관·미술관 도시, 서울 정책위원회’는 김홍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방송인이자 기업인 마크테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서울시 주요 박물관 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안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박물관·미술관은 도시의 문화 수준을 나타내는 바로미터임에도 불구하고 서울 시내 박물관‧미술관 수는 세계 주요 도시에 비해 부족한 편이고, 지역 간 문화 격차도 존재하는 실정이다”며, “서울시는 시민 누구나 지역 간 격차 없이 다양한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문화 소외 지역을 중심으로 ‘테마형 뮤지엄’을 확충하고 ‘세계적인 박물관·미술관 도시 서울’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ANN

 

자료_서울특별시

 

박은비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